we know that the golden mean is hard to live by, but it is the key to improving your personal effectiveness.live by 뜻이 ~에 따라 살다. 인데...to live by 를 문법적으로 봤을 때 to 부정사의 무슨 용법으로 설명하면 좋을까요?
댓글 9
-
찬솔나라
-
소
It is hard to live by the Golden Mean. (It은 가주어, to 이하가 진주어)
라는 문장에서, to V 의 전치사의 목적어를 주제화 할 수 있습니다.
영어에서 to절은 상승, 이동, 삭제 등과 같은 문법적 현상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by 의 목적어가 to 절을 벗어나, 주절 주어자리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The Golden Mean is hard to live by.
이 문장은 맨 위 문장과 그 해석의 차이가 없지 -
이든샘
It is hard to live by the Golden Mean.
에서는, to 이하를 명사적 용법으로 볼 수 있겠으나, (진주어니까요)
The Golden Mean is hard to live by. 에서는, 더이상 진주어라 보기 어렵고,
hard 를 수식하는 부사라고 보기에,,, 뭔가 석연찮습니다.
이는, 어떤 문장의 본래 구조와 의미에 초점을 두어 자체로 이해하는것이 아니라,
몇가지 틀을 정해놓고 거기에 끼워 맞추려하다보니 생기는 문제점인데 -
패틱
I am happy to meet you.
에서의 to 절의 부사적 용법이라 규정한 기본 틀이라면,
The Golden Mean is hard to live by.
애서의 to 절을, 위 틀에 끼워 맞출 수 있을지언정, 본질적 구조는 완전히 다름을 인지해야합니다. -
큰돛
안녕하세요 별찌님...
잘 설명해주셨네요...
전통문법으로는 혀용사 수식정도로
부사적용법으로 본다라는 내용이
교사지침서에 있다는 것을
오래전에 본적이 있는데요..
이러한 전통문법적설명은
고작 품사적성질을 말하고있으나
정작 왜 이런구조를 쓰느냐는 알려주고 있지 않기때문에
품사적구분은 문법을 위한 문법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품사적구분자체는 사실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왜 그것을 알아야하는지 타당한 이유가 없는거죠.. -
영글
선생님, 안녕하세요.
댓글 쓰고 나서, 쓸데없이 긴글 썼나 싶었어요.
오늘 하루 잘 보내셨어요? -
창민
네 ,늘 그렇듯이 하루가 너무빨리 흐르네요...
10대이전에 느꼈던 시간의 흐름과 지금 느끼는 시간의 흐름은 너무나 다르네요..
시간이 쏜살같이 날아갑니다..
시간이 너무아까워요...
이번가을엔 시간을 내서라도 단풍구경을 하고 싶네요..
대학다닐때 가고서는 못갔어요... -
해긴
일하시느라구요?
-
텃골돌샘터
일때문에 시간도 없었지만 여러가지 사건이 많았고
아이들때문에 자유롭지못해서 생활에 얽매여있었어요...
늘 마음의 여유가 없었다고 할 수있어요.
기존문법으로 완벽히 설명히 어려운 부분이네요.
술어가 형용사라고 해서, 무작정 부사라고 단정짓기에, 위 문장 구조를 완벽히 설명할 수 없거든요.
1. To live by 에서, 전치사 by 의 목적어가 없는 부분
(만약 전치사의 목적어를 쓰게되면 비문이 됩니다)
2. To 이하가 없으면, 주절 문장이 비문이 된다는 점
* the Golden mean is hard. 는 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