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을 얻은 뒤 반드시 감사의 덧글을 남기고, 좋은 답변은 채택해 주시는 센스...
질문할 때 예의를 지키시기 바랍니다.(빨리... 고수분만..... 이런 식의 요구는 자제 바랍니다.)
질문 내용 :
They say that he is rich. They say that hewas rich. vv v vIt is said that he is rich.It is said that he was rich. vvv vHe is said to be rich. He is saidhave been rich.위의 첫 문장들이 바뀌고 바뀌어서 맨 아래의 문장으로도 바꿀 수 있다고 하네요..그리고 여기를 설명하면서 나온 전제??가..영어에서 부정사 분사 동명사를 쓸때 주절의 동작 상태보다 준 동사의동작이나 상태가 먼저 발생한 것이라면, 완료 형태로 쓴다.부정사일땐 to have pp 분사나 동명사 일땐 having pp로...하면서 설명이 있더라구요....제가 궁금한건.... 뭐 이럴땐 요러케 된다 저럴땐 저러케 된다는 어떤논리 구조없이 이루어진 것들...그런 것들이 왜 그렇게 되는지 궁금한건 아닙니다...어짜피 언어다보니;; 자국민들이 그렇게 하는걸 어찌 논리로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겠느냐마는..제가 정말 궁금한건바뀔때 is to be was have been 으로 왜 바뀌는 지 조금더 설명을 듣고자 합니다;뭐 원래 그런담 할 말이 없겠지만;;; 그래도 조금 더 설명을 듣고 싶고 이 문법은 어느 영역의 문법인지 알구도 싶구요;; 뭐 수동태다 어떤 용법이다 가정법이다 하는 영역이 있을 것 아닐까요??수동태인지도 잘 몰르겠구요;;; 부정사일땐 to have pp 분사나 동명사 일땐 having pp로... 이것에 해당하는 예문을 혹시 들어 주실 수 있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솔직히 저 전제 자체가 좀 이해가 안되긴 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