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부동산 경매 수요자들은?1. 힘들었던 2013년 부동산 시장.정부가 지난해 수직증축 리모델링 허용과 취득세 영구인하를 통과하고 이어서 그동안 굳게 빗장을 걸었던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까지 잇따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올해 부동산 시장에 호재로 작용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필자 역시 오랫동안 수도권 주택시장의 불신과 침체로 인한 고통받고 있는 서민들에게 부동산 거래의 활성화가 시급한 시점이라는 생각을 한다.더욱이 지난해 전세시장이 사상 최대 고점을 찍으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만큼 임차인들의 물리적, 심리적으로 매우 힘들게 했던 한해라 생각된다.장기간 거래 악화 침체에 따른 하우스푸어 증가와 고금리 대출을 통해 주택을 구입한 소유자들의 주택이 경매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소유자들 역시 힘들었던 한해였다.2. 주택 단기 보유 양도세 인하로 인한 경매시장 단비</o:lock></v:shapetype>부동산 경매로 부동산을 구입시 시세보다 저렴하게 매입을 하여 해당 부동산을 매도를 하여 시세 차익을 남겼다. 그러나 1년 미만 보유시 양도세 50%, 1년이상 2년미만 보유시 40%의 양도세율을 적용함으로써 부동산경매 시장의 단기매매를 간접적으로 규제했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이번 양도세율 개정으로 인하여 주택 단기보유 매매시 양도세 세율 부담을 다소 줄었음으로 주택 경매 시장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2014년 부동산경매 수요자들은?2014년 또한 전세값 상승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격차가 줄어들면서 내집마련을 위해 주택경매 시장을 찾는 수요자들은 더욱 증가하리라 생각된다. 최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가 5일간 설문조사를 실시 한 결과 2014년 하반기에 주택을 구입할 계획을 갖고 있는 사람이 50.2%를 차지함으로써 올 하반기를 기점으로 주택구입 예정자가 주택수요자로 전환되는 시점이 아닐까 생각된다.실수요자 뿐만 아니라 부동산경매를 통해서 시세차익의 이익을 내려고 했던 투자자들 역시 세금에 대한 부담감이 컸었다.그러나 앞서 설명한 주택 단기 보유 양도세 인하에 따른 세금의 굴레에서 조금은 자유스럽게 부동산 경매 시장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부동산정보** <부동산정보매거진 > **부동산정보** ※ 부동산정보매거진은국내 유일의중개업소 홍보용 부동산전문정보지 입니다.대박나는 중개업소만들기 마케팅 비법을 보시려면 여기 클릭☞부동산정보매거진 알짜정보장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