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인레스로 된 물병을 찾다가 도저히 쓸만한 게 없어서
지마켓에서 그냥 스텐컵으로 사서 그때 그때 정수기에서 물 받아 먹으려고 둘러보고 있는 중인데요.
지마켓에서 tea time이라는 판매자가
자기 제품은 국산 27종이라며 원가 500원짜리를 3000~4000에 판매하는 중국산꺼랑 비교하지 말라며
글을 썼던데..그 중 일부를 여기에다 잠깐 올려볼게요..
저 품질의 중국산 제품과 비교하지 말아주십시오
녹쓸고 독성있는24종 스텐레스로 보온컵을 만드는 중국산과는 확실히 틀립니다.
27종 스텐레스만을 사용하여 녹슬거나 커핏물 녹찻물이 들거나 하지 않습니다.
저희 제품은 순수 국산 제품입니다.
라고 하는데 저 말 신빙성 있는 말인가요?
http://www.gmarket.co.kr/challenge/neo_goods/goods.asp?goodscode=104321749
그럼 시중에 값싸게 질 좀 안좋아 보이는 스텐컵이나 물병들...
독성이 있다는 말인지..
만약 그렇다면 플라스틱 물병 쓰는거랑 별 반 차이가 없을 듯 하기도 하구요.
물통이나 물컵으로 쓸 것을 찾고 있는데
마땅한게 없네요.
댓글 10
-
휘들램
-
PrinceSs
27종이라면 중국산이라도 괜찮치 안을까요? oem으로 만둘어서 들어오기도 하잖아요?
-
모아
같은 27종이면 사실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마감의 문제이겠지요.. 첨 샀을 때 세척을 신경써서 해야할테구요..
근데 24종이라하니, 24종이 정확히 어떤 스텐을 이야기하는 지 모르겠네요.
27종이라면, 국산이든 중국산이든 별 차이 없을거라는 생각이구요 (표시 자체가 속인것만 아니라면)
24종에 대해서는.. 글쎄요.. 오키에 아는 분이 계실 것 같은데요. ^^ -
초엘
저도 좀 얇은 스텐 쟁반 살때 24종이라 써 있어서 물어봤더니 식용조리기가 아닌 쟁반 같은거에 사용한다고만하고 잘 모르더라구요. 27종이라고 써있는거 보다 가볍더라구요.
-
어둠
중국산이든 베트남산이던 304(27종)이라면 아무 차이없습니다.
-
우주
팬정리하는 선반도 스텐이랬는데 군데군데 녹슬었어요..
-
솔관
제가 캠핑 다니는 식기로 접시가 필요해서...결국 돌다 돌다 다이소 제품을 골랐는데요...원래 미덥잖아서 다 버렸었는데 이번에 새로 나온 건 27종이라 써있더군요. 근데 집에 와서 세척하는데 장난 아녔어요. 그 시꺼먼 때...때....때.....ㅜ.ㅜ
제대로 된 게 없어서 정말 한이네요. -
에드워드
저도 최근에 gs 이스토어에서 아이들 양치컵 샀는데
쇠냄새 난다고 애들이 안 쓰는데 이걸 버려야 할 지 어떨지 난감하네요.
화분으로 쓰려고 해도 구멍이 없으니... -
꽃가람
27종이라는 제품은 300계열을 말하는것들입니다. 300계열에는17종류가 있는데 실제로 가정에서 쓰이는 양식기( 냄비,수저,국자,등)들이 300계열중에서도 304라는 제품이 쓰여지는것입니다.
그리고 수입산이라고 전부 나쁜것들이 아닙니다. 제조업체들에서 원소재 가격이 날로 인상이 돼고 있으니 좀더 저렴한 소재로 써서 마진이라는걸 높이기 위해서 다른소재 ( 200계열,400계열(24종))들로 사용을 하므로해서 녹이 나거나 자성이 생기게 돼는것입니다.
그리 -
칸나
물통 있습니다.
등산용품점에 가면 라이프스포츠상사에서 만든 스텐 물통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물병만큼은 지그물병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보온병은 조지루시인가 그것만빼고 아무거나 스텐이면 사용합니다.
조지루시는 그좋은 스텐에 안쪽으로 코팅을 해 놓았습니다.
그것이 끄림직해서....
가끔 마트에서 보면 저렴한 스텐레스 제품을 많이 보게 되는데...
차이나, 인도, 베트남, 태국 등등
아무래도 국산 그러면 좀 나으려니싶고, 인도? 것은 괜찮나 뭐 그러기도 하는데...
지난번 마트에서 너무저렴한 스텐컵이있어 양치컵 할려고 했는데 원산지도 좀 걸리고요,
마감이 깔끔치 않아서 먹는물담을 컵은 아니지만 아이들 입 헹굴 물인데 하며 접었습니다
그리고 플라스틱 양치컵 보면서 매일 바꿔줘야지 한답니다
스텐소품 믿고 적당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