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을 얻은 뒤 반드시 감사의 덧글을 남기고, 좋은 답변은 채택해 주시는 센스...
질문할 때 예의를 지키시기 바랍니다.(빨리... 고수분만..... 이런 식의 요구는 자제 바랍니다.)
질문 내용 :
It was such a funny sight that anyone who had seen it _______________1. would laugh 2. would have been laughed at 3. would have laughed 4. would be laughed5. would be laughed at답이 3번인데요..왜 꼭 저기에 가정법으로만 들어가야 하나요??1번 would 이것은 너무나 웃긴 광경이어서 그것을 (그 이전에) 본 사람은 웃으려 하였다. 이건 왜 안 되는 건가요?
댓글 3
-
찬놀
-
핀아
죄송한데..잘 이해가 안 가요..
would 의 뜻에...(과거에) ~하려 했다. 라는 직설법 뜻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저걸 그냥 that 이하 부터 가정법이 아닌 직설법으로 진짜
그 전에 그 광경을 보았었던 사람은(대과거)
웃으려 했다 (과거)
이런 식으로 안 되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
사이
\anyone who had seen it\를 \It was such a funny sight\보다 시점이 더 빠른 대과거로 해석하는 것은 blurryredeye님께서 어떤 이유에서 그런 말씀을 하시는지 잘은 모르겠지만 제 생각엔 너무 이 문장을 확대 해석을 하시는 게 아닐까 합니다.
그리고, 밑에 \나비호\님께서 말씀하셨듯이, 전체적으로 문장을 보면
\such a funny sight\를 강조어구를 취하는 \it was(과거) ~ that\ 강조구
\It was such a funny sight\까지의 문장은 말하자면 \직설법\입니다.
\가정법\은 \a funny sight\를 조금 더 설명을 해주는 동격의 \that절\ 부분입니다.
해석해 보면,
\그것은 웃긴 광경이었는데, 그 장면을 봤던 어떠한 사람도 누구든지 웃었을, 그러한 광경이었다.\
그러니까,
\그 장면을 봤던 어떠한 사람도 누구든지 웃었을\이 없었던 상황을 가정하는 내용입니다.
그래서, 가정법을 쓴 것이구요.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