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es cannot grow in the sky, nor clouds be in the deep sea, nor fish live in the fields. 여기서
강의도중에 clouds다음과 fish다음에 can이 생략되있다고 하셨는데 nor이 부정의 그거니까 도치되야 하니깐 nor다음에 can이 생략되어 있어야 하는게 아닌가요?
그리고 s not v, norv s 여기서 해석이 ~않다 또한 ~하지않다니깐 nor뒤에는 다시 부정이 들어가진않죠?
마지막으로 도치할때 부사구가 앞에 있으면 도치할수도 있고 안할수도있는거고 부정의 어구가 앞에 있으면 무조건 도치를 시켜줘야 하는것인가요? 그리고 도치할때 일반동사만 조동사의 도움이 필요하고 나머지는 그냥 도치시키면되나용?
댓글 3
-
딥블랙
-
소유
부정어구가 문두에 올때, 주어-조동사 도치 개념을 다시 잡으셔야 할 듯해요
여기서 말하는 조동사란 서법조동사(will, can, may, will 등) 과 문법조동사 (be, do, have) 모두를 말합니다.
단, 일반동사의 경우에, do 조동사를 데려오고요. 문장의 동사가 일반동사로서 be 동사의 경우에는 바로 be 동사를 도치합니다.
be 동사가 일반동사인 경우와 조동사인 경우를 구분하셔야 할 거에요. 제가 너무 문법적인 설명을 하는 것은 아닌 -
냐하
can의 생략위치는 nor뒤가 맞죠?
2022-05-17 12:25:38
nor 뒤의 생략된 can 은 nor 과 각 주어 사이에 있던 것이 생략되었다고 볼 수 있겠네요.
말씀하신대로 nor 안에 부정 의미가 있기때문에, 그 뒤에 다시 부정표현을 쓰지 않습니다.
부사구가 강조로 앞에 오게되면,, SVC / SVA 의 문형의 경우 주어와 동사(조동사가 아니라) 가 도치될 수 있습니다. 만약, 동사가 타동사일 경우에는, 부사구가 문두로 와도 도치하지 않아요.
부정오구가 문두로 오면, 반드시 주어/조동사 도치가 일어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