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130만원씩 주고 캄파 샤말 웉르라로 바꾸면 돈값을 확실히 하나요?
고견을 바랍니다. 현제 저는 자이언트 TCR콤포지트 1타고 다닙니다.
댓글 10
-
계획자
-
큰길
싸구려 보급형 휠셋과 고가 휠셋 차이는 분명 있습니다. 일단 무게와 구름성에서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디자인과 내구성 같은 것들도 차이가 있고요.. 예전에 어떤 분이 고가 로드를 뒤집어놓고 바퀴를 휙 돌려놨는데, 정말 농담이 아니고 이 바퀴가 멈출 생각을 안 하더군요.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다 감탄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
링고
휠은 체감성능 향상이 제일 큰 부품 중의 하나죠
-
환히찬
휠 등급은 대부분
1. 림재질
2. 허브재질
3. 베어링 쇠구슬 갯수
4. 스포크 재질
같은 회사의 제품은 구조는 대부분 같습니다. 재질에 따라 무게가 다릅니다.
일부 회사는 등급에 따라 베어링 쇠구슬의 갯수도 다릅니다.
1단계.
등급이 낮을수록 휠이 무겁다
무거운만큼 많은 힘이 들어간다
하지만 무거운만큼 같은 속도에서의 관성은 무거운 쪽이 더 크다
2단계.
허브베어링의 쇠구슬 갯수가 많을수록 등급이 높다
베어링안에 구슬이 적당하게 꽉차면 회전 -
갤쓰리
ㄷ ㄷ 작년 우승자 트리곤 다크니스 끌고와서 우승햇다던데 맞나요??
-
영미
통계자료를 보면 가장큰 효과를 주는것이 휠셋입니다
프레임교체를 제외한 무게감량이 가장쉬운부분입니다 -
오빤테앵겨
무게 차이가 가장 크고 재질과 내구성 차이도 있겠지만 너무 경량으로 가도 내구성이 떨어질 염려도 있구요.
내구성은 오히려 제법 무게가 있는것들이 더 튼튼합니다.
이것도 하는 말이 그렇지 정상적으로 사용시 둘다 튼튼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잘못된 주행습관이나 막 다루면 아무리 튼튼해도 금방 망가지겠죠.
회전관성이 주행성능에 라이더의 에어로 자세 다음으로 크게 미칩니다.
관성에 이득을 보려면 바퀴의 외곽이 가벼워야 효과가 발휘 됩니다. 중심축의 -
가을귀
등급이 낮은 휠이라면 허브베어링교체를 생각해보고 몸무게를 좀 더 줄이고 다리근력을 키워 휠을 적당한 회전수로 돌릴 수 있으면 상급 부럽지 않을 겁니다.
아마 작년 무주대회 때 우승자가 입문용 휠셋을 사용한 것으로 압니다.
체중감량과 근력을 키울 수 없다면 상급휠을 사는게 맞습니다. -
일본녀
TCR컴포지트 순정휠에서 샤말울트라가면 일단 가장 확 느껴지는건 스타트와 가속입니다
스타트와 가속이 쉬워지는만큼 힘을 조금이나마 세이브하게되니 평속도 조금 오르구요
허나 오래타다보면 몸이 적응해버려서 비슷하게 느껴질때도 있습니다
들바할때는 영구적으로 가볍다는게 느껴지구요 ^^ -
세실
전 평속상승하고 업힐 기록 단축되고 그럴지 알았는데..
스트라바상으로 기록 비교해보니 같더군요;;
휠셋 교체 전날과 교체 후 2일뒤 기록이 같았습니다.
참고로 휠셋은 4개월 전 펄크럼 레이싱 스포츠 ㅡ 펄크럼 레이싱 제로로 교체했습니다.
'돈값'을 하는지는 잘 모르겠는데요 '효과'는 얼마나 안좋은 휠을 썼었느냐에 따라 엄청나게 나타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