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Time pressure compels consumers of information to scan multiple channels, scooping up(모으다) and filtering large amounts of data in search of what is interesting or important.
(시간압박은 정보소비자들로 하여금 다수의 채널을 대충 훑어 보게 하고, (정보소비자들은) 흥미롭거나 중요한 것을 찾아서 많은 양의 정보를 모아서 걸러낸다.)
여기서 to scan 하고 scooping up, filtering이 병렬 관계라고 한다면 전부 형태를 to 부정사로 일치시켜줘야하는것 아닌가요???
만약 병렬관계가 아니라면 저 구조를 어떻게 봐야하나요? 해설에는 scooping이 scan 과 동시동작이라서 분사구문을 썼다고하는데 이해가안되네요.
(참고) 올해 고3수능특강 6강15번에 나오는 문장입니다.2. When we talk about young people not caring about politics, not knowing about anything beyond their own lives,
we are often wrong. (우리(기성세대)가 젊은이들이 정치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지 않다고, 그들 자신의 삶을 제외하고는 어떻것도 알지못한다고 말할 때, 우리는 흔히 잘못알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not caring하고 not knowing은 about의 목적어로 쓰인 동명사 아닌가요?
저는 not caring과 not knowing이 병렬구조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근데 어떤 분은 not knowing을 분사구문으로
설명을 해 주셨더라구요. 분사구문이라고 하면 주어가 we 가 되어야 하는데, 내용상 맞지 않는 거 같고..
병렬로 보자니 not knowing 앞에 있는 ,(콤마)가 and가 아닌게 좀 걸리네요.
영어고수님들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참고) 올해 고3수능특강 7강 1번문제에 나오는 문장입니다.
1번은 scan 하면서 정보를 모으고 걸러내는 동시작업을 하기 때문에 그렇게 설명한 것입니다. 즉, 별개의 동작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동시동작으로 본 것이고 분사구문이 주절 뒤에 있을 때는 앞문장의 목적어가 분사구문의 주어로 사용되어 생략하기도 합니다.
2번 not caring, not knowing 은 young people을 의미상의 주어로 사용하는 동명사구문이고, 두 개를 연결할 때 and 대신 콤마도 많이 사용됩니다. 분사구문이 아닙니다. 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