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회원님들 모두 건강 챙시기시기 바랍니다.
몇가지 정리하다가 궁금한 점 질문 드립니다.
in spring there is no sweeter place in which to pass a few hours of idleness than the wood.
위 문장은, 전치사의 목적어인 관계대명사가, 전치사와 함께 앞으로 나간 관계대명사절을, to 절로 압축한 것입니다.
압축전을 써보자면,
in spring there is no sweeter place in whichwe canpass a few hours of idleness than the wood.
정도인데,
문법책을 보니, 위와 같은 경우 to v 의 주어(for 주어) 는 혀용되지 않는다고 나옵니다.
즉, 아래와 같이 쓰는 것은 틀리단 소린데요,
in spring there is no sweeter place in which for us to pass a few hours of idleness than the wood.
생각해보니까, for us 를 쓰게 되면, 압축 관계대명사절을 만드는 접속사 자리(comp) 에, in which 와 for 가 함께 있어서, 둘중 하나는 생략해야하는데, which 는 생략할 수 없으니, for 를 생략해야하고, (하나의 절에 접속사 역할을 하는 것이 두 개일 수 없으니까)
결국, for 주어는 쓰지 못한다는 결론인데요.
1) 저것이 맞는지, 그렇지 않다면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인지요?
2) 위와 같이 통사적으로 설명하는 것 말고, 좀더 쉽게 설명하는 방법은 없을지요?
3) for 주어 를 생략할 수 없는 문맥에서는 전치사+wh- to v 압축 관계대명사절은 사용하지 못한다라고 결론 지을 수 있는지요?
댓글 10
-
유희
-
Regretting
이렇게 고난도의 질문은
본적이 없는데요...
문두의 complementizer자리에 which와 for 두개가 동시에 올수 없다는 내용은
CAGEL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통사적으로 옳은 얘깁니다.
좀더 쉽게 이해하는 방법을 찾으시는군요....
1)번에 대한 답은 이미 해드렸고
3)번역시 맞는 내용으로 보입니다...
2)번이 문제네요...
원어민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봐야할 것 같아요...
그들은 결코 언어학자들이 풀어내는 방식으로 복잡한
이론을 -
바론
엊그제 질문드린 이후, wh- 절이 wh- + to 절로 압축되는 일반적인 논리를 궁리하다가 떠올랐습니다.
위의 경우만 그런 것이 아니라,
의문사 + to v 의 경우에도 for 주어 를 함께 쓸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오네요.
책을 찾아보니,
No overt subject is pemmited in either kind of interrogative infinitival.
라고 적혀있습니다. 위와 같은 이유라고 생각됩니다. -
알찬마루
허... 찾아내셨네요...
-
큰가람
네;;; 아직 왜 그런지는,,
위 내용은, how to read a book , what to do 는 가능하지만,
how for you to read a book, what for them to do 등은 불가능하다라는 내용인듯 한데요. -
가루
혹시, redundancy 때문인가요?
중복된 부분이 없어서요. -
휑하니
아직확신이 안가시는듯한데...
TO부정사구조든 분사구문이든
압축구조의 전제는 주로 주어의 중복(redundancy)이잖아요..
TO부정사로 압축하면서 주어를 쓴다는 것 자체가
축소의 논리가 아니라 확대의 논리잖아요
왜 애초에
TO부정사구조로 줄이려고 했는지에 대한
초심으로 돌아가보면 주어를 표시하는것이
쓸데 없는 짓이구나는 것을 느끼게되는 거죠...
그의미상주어가 문맥상 앞에 표시되어 있든
일반인이든 간에 말이죠... -
시원
redundancy
잉여,혹은 군더더기라는 뜻
중복을 포함하고 문맥상 언급하지않아도 알 수있는 것들을
총칭한다고볼 수 있습니다... -
솔찬
to 압축절이 (주어) 중복의 간소화를 위한 축소의 논리로 만들어 쓴다.
라는 논리로 이해하려니 뭔가 설명되지 않는 것들이 존재해서요.
wh- 관계사절이나, wh- 의문사절이 (wh-) to V 로 압축되는 이유가 (주어) 성분 중복이 아니라, 한정동사의 서법표현에 있다고 이해되는데요.\\
그래서, to 압축 관계사절은 미래의미를 담은 관계사절을 압축한 것이고, 의문사 + to 절은 wh- should ~ 로 이해하고요. 동사의 서법(Modal) 이 -
봄
언어현상을 한가지 일반적규칙으로 정리할 수없어요
너무나 복잡하고 예외가 많아서
부분적인 규칙만 있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여기서는
wh관계절/의문절인데
너무확대하는 거같아요....
실제 존재하는 문장을 가지고 이해하는 입장에서
봐야할 것같아요...
우리가 문법적으로 다루는 문장은 실제 다수 존재하는 문장을 가지고 분석하는 것이고
규칙으로 문장을 만들고자하는 것이 아닌겁니다...
맞는 말씀이세요.
그런데 쓰일 수 있는 말을 익히는 것 만큼, 쓰일 수 없는 말을 익히는 것도 중요하고, 왜 그런지 궁금하기도 하고요.
그것이 논리적인 이유든, 그 외의 이유든 말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