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I 게시판에서 답변이 없으셔서 여기도 남겨 봅니다...
많은 의견 부탁 드려요;;;
1. 압축비 작업 시 연비 저하 혹은 트러블 가능성이 어떻게 되나요?
(가스켓 2 장 작업 예정입니다. 이 정도면 시내 5.5 키로 고속 9 키로 평균 7.5 키로 연비가 어떻게 될까요?) 2. 터보 얹어서 터보만의 도움으로 연비는 어떻게 변하나요?
(전혀 급가속 않고 고속도로 100 키로 정속 운행 시 살짜쿵 부스트의 도움으로 터빈이 조금이라도 돌면연비에 분명히 도움이 되나요? 만약 100 키로 정속시 연비 9 키로라면 터보 얹은 후에 연비는 어떻게 되나요?한가지 차이점이라면 넌터보는 5W30 / 터보는 10W40 오일을 쓴다는 전제입니다.) 3. 같은 출력이라고 할 때 2000CC 부스트 0.5 bar 와 2400cc 부스트 0.35 bar 의 차이는 어떤게 있을까요?
(둘 다 기본 맵핑했을 때 126 마력 vs 140 마력이라고 보면 출력은 126x1.5=189 vs 140x1.35=189 예상 됩니다.) 4. 현재 142 마력에서 총 비용 200 만원으로 185 마력 정도, 230 만원 정도로 215 마력을 얻는다면 선택은???
(물론 215 마력이 좋긴 하겠지만 둘의 차이는 압축비 작업 유무입니다. 압축비 작업 공임은 나중에 순정화 시에
다시 들게 되므로 실제로 두 작업의 비용 차이는 60~100 만원이 듭니다. 기본 30 만원 예상) 5. 세타 5단 미션에서 오일 쿨러 장착 시에 27 토크 넘어가면 분명 내구성에 문제 생길 가능성이 크겠죠?
2단 이하에서는 절대 급가속이나 부스트를 쓰지 않는다고 하면... 6. 실제 도로 상황을 감안하면 풀악으로 급가속 하는 경우는 엑셀에서 그만큼 발도 빨리 떼게 될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 NA 주행을 선호해서?풀악셀 보다는 액셀을 70~80% 만 밟고 쭉 올리는 가속을 주로 하게 될 텐데요,
이렇게 가속을 해도 가속하면 부스트가 거의 MAX 로 유지가 될까요?
(저압이라서 궁금합니다. 0.35 bar 기준)그리고 이런 주행법이 배기온 덜 올리는 방법이 될까요???? 7. 다이나모 그래프 상 토크 밴드는 MAX 에서 유지되는 구간이 많은데 풀악셀이 아니라도 토크는 가속시 MAX 를 찍겠죠?
(미션 내구성 때문에 궁금해서 드리는 추가 질문입니다.) 8. 185 마력이랑 215 마력이랑 차이가 얼마나 날까요?
어차피 케텁 순정 못 딸거면 무리해서 압축비까지 하고 215 올릴바에는 그냥 0.35 바에 압축비 작업 없이
185 마력에 맞춰 탈려는데...
200 마력 이상 올리면 트러블도 많이 생기겠죠? 배기온이랑 변형이랑 뭐 그런... 차체 강성도 못 버틸 것 같고;;
더 궁금한게 많은데... 제가 터보에 대한 지식이 많이 부족해서 여기까지만 먼저 여쭈어 봅니다...
댓글 5
-
다이
-
난슬
박사나 전문가는 아니지만... 이제는 작업 후라 좀 알 것 같아서 답글 달아 봅니다.
1. 압축비 작업 시 연비는 떨어집니다. 그래서 압축비 작업은 안 했는데, 터보에서의 압축비는
어차피 밟았을 때 떨어지는 연료가 후덜덜 해서 그리 부담되는 수준은 아닙니다.
떨어지는 미약한 연비만큼 압축비 작업 시 올릴 수 있는 출력이 있기에 하는게 낫긴 합니다.
2. 넘치는 출력 덕에 부스트 안 터뜨리면 공연비가 상대적으로 올라가 연비가 좋아집니다.
다만, 0.7 -
푸른들
3. 배기량이 높아지면 토크가 상승합니다. 저RPM 에서부터 뿜어져 나오는 토크가 일품이지요...
2000CC 부스트 0.5 라면 비슷한 출력 뽑을 때 2400CC일 때 0.43 정도에서 나오는 듯 합니다.
부스트를 얼마를 쓰든 배기량이 높으면 토크는 무조건 높게 나옵니다.
다만, 고 RPM 에서 노킹 위험성 때문에 고토크, 동일 부스트에서 고 배기량은 위험하므로
2000CC 대비 2400CC 에서는 부스트를 조금 낮게 가져가야 합니다. 그래서 마력의 -
김예쁨
5. 5단미션 기준 27 토크가 한계점인 것 같습니다. 지금 제 차량이 32 토크인데 미세 슬립 납니다.
미션 쿨러는 25 마력 이상일 때 필수인 듯 하구요, 5단 세타 차량은 27~28 토크를 한계점으로 잡고
맵핑 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6. 액셀을 50% 이상 밟게 되면 연료량, 공기 흡입량에서 차이가 날 뿐 부스트는 거의 MAX 찍습니다.
차에 부담 갈까봐 풀악은 안 밟게 되고 지금도 70% 정도 수준에서 가속 하는데 0.55 바 셋팅 기준 -
딸기우유
7. 다이노 그래프에서 토크는 고 RPM 으로 갈수록 떨어지는데, 일정하게 떨어지는게 아니라
5500RPM 정도 되면 떨어집니다. 물론 맵핑 시 조절이 가능하지만, 펀 드라이빙을 위해 토크밴드를
좀 앞쪽으로 가져가면 고알펨쪽은 떨어지게 돼 있습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방식의 경우 고 RPM 에서 부스트 유지력이 웨스트게이트 대비 떨어지고,
흡배기를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서도 차이가 납니다. 제가 올린 질문처럼 미션 내구성 때문에
토크밴드를 조절하는건 좀
전문가 아님~~ㅜㅜ 박사정도돼야 답글달리겠습니다! 저도 이런 열정이 있어야 하는데 부끄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