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을 얻은 뒤 반드시 감사의 덧글을 남기고, 좋은 답변은 채택해 주시는 센스...
질문할 때 예의를 지키시기 바랍니다.(빨리... 고수분만..... 이런 식의 요구는 자제 바랍니다.)
질문 내용 : If the camel has to gowithout food for a period of time, the fat in the hump could nourish it for several days.
여기서 밑줄이 had로 써야한다고하는데요 이유는 가정법 과거이기 떄문에..힌트는 주절의 could라는데요
질문1)
여기서 그냥 단순 조건절로 보며안되나요? 낙타가 일정기간동안 음식없이 가야한다는건 반드시현재,미래에 대한 반대가 아니자나요?
그럴 가능성도 있고 또 그렇게 많이 낙타가 다니자나요?
이렇게 얘기하면 뒤의 could가 가정법이라는 근거가 된다라고 반박이 들어올수도 있는데 여기서 could를 꼭 가정법과 관련된 could로 봐야하나요?
저는 일단 조동사에서 can,could,may,might등처럼 현재형,과거형은 그자체로는 시제포현을 하지않고 뒤에 have pp여부로 따진다(have pp의 경우 과거의미전달) 로 알고있어요
그 예로 ex) You may/might leave 둘다 같은시제로 둘다가능하다라고 알고있어요
마찬가지로 위의 문장에서도 가정법관련 could가 아니라 그냥 현재,또는 미래를 나타내는 could로 보면 안되는지요.. 그럼 앞에 단순 현재 조건절로 써도 무방할듯한데..
ex) If the universe is expanding, then in the past it must have been smaller than it is now
보면 단순 조건절 앞에 쓰고 뒤에 조동사pp로 뒤에 쓰고요.. 이런식으로 맨위의 문장도 가능하지않을까해서요
아마 지금까지 설명한거 중에 오류가 있을듯한데요.. 뭔지 모르겠네요.. 혹시 앞을 단순조건절보려면 can으로 바꿔야하나요?
단순 현재조건절을 쓸대 주절은 조동사 과거형이 아닌 현재형으로 쓴다?? 그냥 추측해봣어요.ㅋㅋ
길어졌네요.. 도와주세여~
여기서 could는 가정법으로 봐야 합니다. 가정법이 생각보다 많이 사용됩니다. 소망하거나 부탁하는 상황에는 다 가정법이 사용됩니다. 해주실래요?하는 Could you도 가정법이고, He could be there by now지금껏 거기 있을 거야라는 추측도 사실은 가정법 주절에 들어갑니다. 기본적으로 내용적으로 현재 사실이 아닌 것에 과거형 시제를 쓰는 것은 다 가정법입니다. 여기서 뒤에 can을 쓰면 직설법이 되고 could를 쓰면 가정법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