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ppasus was a pythagorean philosopher.
little is known about his life or his beliefs, but he is sometimes credited with the discovery of the existence of irrational numbers.
the discovery of irrational numbers is said to have been shocking to the pythagoreans, and hippasus is supposed to have drowned at sea (apparently as a punishment from the gods).
however the few ancient sources which describe this story either do not mention hippasus by name or alternatively tell us that hippasus drowned because he revealed how to construct a dodecahedron inside a sphere.the discovery of irrationality is not specifically ascribed to hippasus by any ancient writer.
some modern scholars though have suggested that he discovered the irrationality of √2, which it is believed was discovered around the time that he lived.
# 피타고라스학파는 유리수(정수의 비)의 개념만으로 모든 숫자가 표현될 수 있다고 생각했던 모양입니다.
이래 저래 연구하다보니, 피타고라스 학파 자체에서도 한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는 유리수 만으
로표현이 불가능 한 것을 알았고, 자신들만의 비밀로 간직하려고 했었나봅니다.
하지만, 학파중에 한 사람인 히파수스는 비밀로 하려고 했던 것을발설하면서 배반자로 몰리고 처형을 당하게됩니다.
루트2 혹은 제곱근 2라고 읽혀지는 무리수의 발견은 히파수스의 업적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이 정도 내용이 히파수스에 대한 대락적인 내용입니다.
# 질문은 세번째 단락의 however 문장의 내용입니다. few가 보이고 동사가 do not mention인것 같고 either의 쓰임도 조금은 어려움이 있네요.
# 마지막 문장의 관계사절 이후에 believed was 이런식으로 나온 문장도 문법적으론 조금 거부감이 드네요.
# 말로 하는 거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은데, 자료로 활용하려니 문법적 분석이 안되서 문의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