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공부한 바에 따르면
원래 문장A와 문장B가 있고, 이 두 문장이 공통적으로 지칭하고 있는 것에 따라서 관계대명사를 적어가지고 두 문장을 합칠 수 있다고 알고 있거든요.
예를 들면, 문장A : this country is big.
문장B :i live in this country.
그럼 여기서 this country가 같으니까 이 두 문장은 this country which i live in is big.이렇게 합칠 수 있겠죠?
그리고 뒷문장의 i live in 에서 전치사 in을 관계대명사 앞으로 끌어와서
this country in which i live is big 이렇게 만들어줄수 있다고 알고 있었어요.
그리고 이 전치사+관계대명사는 관계부사로 바꿀 수 있으므로
this country where i live is big. 으로 바꿀 수 있죠?
이게 맞는 순서 아닌가요?
그러니까 원 문장에서부터 동사 뒤에 전치사가 적혀 있고
그 전치사를 관계대명사 앞으로 빼놨을 때 이에 따라 관계부사로 바꿀 수 있는거요.
근데 지금 중3 지학사 영어 책의 4과 문법에 이 부분이 나오는데 순서가 거꾸로 되어있어요!!
교과서 속 예문을 써보자면
this is the house.
i grew up there.
- this is the house where i grew up.
- this is the house in which i grew up.
이렇게 되어있어요!!
진짜 이상한 게두 문장을 합치고 관계부사를 전치사+관계대명사로 바꾸는 부분에서
갑자기 원 문장에선 있지도 않던 in이라는 전치사가 생겨난다는 거죠.....
이런식으로 in which를 where로 바꿔주는거였으면
원래 문장으로 제시되었던 것들도
this is the house.
i grew up in there. 이렇게 되어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이 뿐만 아니라이부분의문제들 모두보면
다 원 문장에 없던 전치사를 알아서 생각해서 적는 식이던데 ㅡㅡ 너무 주먹구구식 아닌가요...........
아님 뭐 아무 전치사나 써넣어도 되는건가요?
아니면 이해가 되게 이 부분 좀 설명해주세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