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자전거 들여와서아직 헬멧과 안전용품들이 오지 않아서집앞 공터에서 조금 돌아봤습니다.
제가 기어를 이래저래 맞추고 달리다가한 어르신께서 기어를 그렇게 하면 좋지 않아~~라고 말씀해주셨어요.
그래서 잔차에 대해 많이 아시는것 같아 질문 하려 했는데... 차 시동걸고 휙 가더라구요.체인이 사선이 되면 좋지 않다고~~~ 하시면서 휙
그래서 바로 고개를 내려 앞 뒤 기어를 보았어요.
앞기어는 안쪽 작은기어에 뒤는 바깥쪽 제일 작은 기어.그래서 아저씨게서 사선이라고 하신거 같아요.
그러면 반대로 앞쪽은 바깥쪽 기어 뒤에는 제일 안쪽기어로 맞추어서 운행하면 좋지 않은건가요?
어떻게 기어 변속을 하면서 운행할지 걱정부터 앞서네요
댓글 10
-
아지랑이
-
카제
지나가는 아저씨에게 잠깐 들은 정보 가지고 와서 궁금했는데
오키에서 실시간 댓글로 시원하게 해결 주시네요.
댓글 달아주신 분 모두 감사합니다. -
영동교
기본은 가장 작은 녀석들끼리 물리지 말고 큰녀석들끼리 물리면 안되요
프론트 드레일러와 체인 그외 부품들의 마모를 촉진 시키니까요 -
하예
사선이되면 체인이나 구동계에 무리가 가서
쉽게 마모가 된다고 합니다
3x10 단의 경우
1단-1~6단
2단-3~8단
3단-5~10단
정도를 최대 변속 폭이란 느낌으로 쓰시면 됩니다 -
Glisten
되도록 평행하게 기어유지하는게 스프라켓,체인,크랭크 마모에 좋습니다. 가령 앞이2개 뒤8개라면
앞1개에뒤4개까지만 바깥쪽은 바깥쪽 끼리.안쪽은 안쪽끼리. -
강아지
자전거에서 기어는 자전거 중심 쪽이 1단이고 밖으로 나가면서 기어가 숫자가 커집니다.
앞 3 뒤 9 = 27단 자전거로 봤을때
앞1 뒤 123
앞 2 뒤 456
앞3 뒤 789
가장 이상적인 기어비 입니다.
1단이 제일 느슨한 기어비로 오르막에서 체력이상으로 힘들때 쓰는 기어비 입니다.(이해되시라고 ^^)
글쓴 부분을 보면 앞 1 뒤 9 로 놓으신 상태이기때문에 앞크랭크와 뒷 스프라켓이 마모가 빨리되고
체인의 유격이 좌우로 커져서 ... 좋은 -
새꽃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기어변속시에는 페달에서 힘을 빼고 돌려주는 기분으로 하고 변속해야 체인에 무리가 안갑니다. 그리고 업힐진입전 미리 변속하시구요. ^^
-
그대와나
감사합니다
-
설화
기어변속은 평지에선 거의 고정이구요/ 업힐에선 자주 바뀐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야 고정기어에서 다리에 거기에 맞는 근육이 생깁니다. 그 근육은 고속으로 장시간(아마추어는 수분동안) 속도를 유지하게 됩니다.
-
먹딸기
그리고 보관시에는 앞1뒤9로 제일 작은 크랭크링과 스프라켓에 걸어서 변속선의 장력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해 주시면 좋습니다.
샾에서 한달 후에 장력 조절하라고 하지 않던가요?
잠깐동안은 그렇게 타도 상관없는데 오래도록 그런식으로 타면 구동계 부속의 마모가 더 빨리 된다고 합니다.
앞에 작은기어 걸고 뒤에도 제일 작은 기어를 걸 정도라면, 앞에를 큰 기어를 걸고 뒤쪽은 중간 정도를 걸고 타시면 비슷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