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son ran to second base while the runners ahead of him crossed home plate.
they scored three runs.
as he reached second base, one player of the opposing team turned him in the direction of third base and shouted, “run to third, jason!” after he rounded third, boys from both teams were shouting, “jason! run home!” jason ran and touched home plate.
all the players cheered.
jason had hit a “home run.”
he had won the game for his team.
that day, both teams had helped bring a piece of true love and friendship into our world.
위 지문은중3교과서 내용입니다.
jason이라는 장애가 있는 아이가 야구에서 2,3루를 달려서 점수를 내고 승리의 주역이 될수 있도록 하는 훈훈한 내용인데요.
제가 궁금한 것은 다른 시제들은 주로 과거가 쓰였는데
맨 끝에 세 문장은 왜 과거완료가 쓰였느냐 하는 것입니다.
안그래도 1과에 과거완료가 핵심 문법이라 아이들에게 가르쳤는데,
(과거보다 먼저 일어난일에 과거 완료를 쓴다는 것을 학습시키는 것이 1과 문법의 주요내용입니다.)
여기서 과거 완료가 왜 쓰였는지는 저도 좀 궁금하네요.
잘 아시는 분은 상세하게 답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과거완료는 그 용법이 두가지가 있습니다.
1. 상으로서 : 현재완료는, 앞선 과거사건이 현재라는 기준시점과 연관이 있음을 보여줄때 씁니다.
마찬가지로, 상으로서 과거완료는, 앞선 과거 사건이 이 후의 어느 과거 기준시점과 연관이 있음을 나타낼때 씁니다.
2. 시제로서 : 일명 대과거라고 부릅이다. 문맥의 특정 과거 시간보다, 앞선 과거임을 봉주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1. 이든 2. 이든, 과거완료는, 기준이 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