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전을 막는 전기상식
배터리는 전기를 담는 그릇에 불과하지,샘 솟는 우물 처럼 전기를 스스로 만드는 장치가 아닙니다.
전기를 만드는 장치는 발전기(알터네이터)이며, 발전기가 전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엔진이 돌아가야 합니다.
또한 엔진이 강하게 돌아가야 발전기가 전기를 풍부하게 만들어
-차 운행에 필요한 전기를 먼저 공급하고
-남은 전기로 다음에 배터리를 충전한다고 꼭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방전이 잦다는 것은 평소에충전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보셔야 합니다.
* 물론 방전전류(소모전류,누설전류(암전류등))도 영향을 주지만
특히 날씨가 추우면 배터리의 저장능력이 떨어지므로 제대로 충전이 잘 안됩니다.
그럴때는 더 더욱 발전전기가 강해야 하고 그러려면 엔진힘이 강해야 하지요.
정리를 하면 배터리 전기는발전기 성능과 엔진힘에 직결되는데 방전이 잦을 때는배터리만 탓하면 안됩니다.
이러한 연관 관계를 꼭 익혀두셔야방전으로 인한 고생을 덜합니다.
**추신 **
전기에는 전압도 중요하지만 충전에 필요한 요소는 전류(A 암페어)입니다.
전류는 물에 비유하면 흐르는 물입니다.
발전기는 흐르는 물을 만듭니다.
배터리는 흐르는 물은 잠시 저장합니다.
그러므로 발전기가 흐르는 물을 풍부하게 만들어야 자동차도 움직이고 배터리에 저장도 잘 합니다.
** 추가 답변**
* 질문 : 배터리가 완충 됐는지 확인 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 답변 : 시험을 하려면 가상부하를 걸어놓고 방전시험을 해 보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60AH 배터리에 60A부하를 걸어 방전시간이 1시간 걸리면 완충전으로 보시면 되지요.
단 이때 방전전압은 10.8V이하로 떨어지면 안됩니다.
일반적으로 보는 요령은 우선 내차의 시동 껀 후의 소모전류(방전전류) 알아야 합니다.
측정하니 500mA였고 배터리용량은 12V/60AH라고 한다면 배터리 방전시간은
* 방전공식은 T(시간) = AH(배터리용량) ÷ A(방전전류)에 의거
* T = 60AH ÷ 0.5A(500mA) = 120T(시간)
* D = 120 T ÷ 24T= 5일
즉 충전이 잘 되었다면 방전전류가 0.5A가 되어도 5일은 간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하루도 못간다면 충전량은 역산하면 되지요.
* AH = T ×A = 24H × 0.5A = 12AH
* 충전율(%) = 12AH ÷ 60AH ×100%= 20%
분석하면 60AH 배터리는 12AH(20%) 밖에 충전이 안 되었다는 분석이 됩니다.
그래서 방전이 잦으면 엔진힘을 강하게 하여 충전이 잘되도록수리를 해주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