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목이 ‘묘지’인 곳에 전원주택을 지으려면 우선 묘가 없는 곳에서는, 묘가 없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현장사진을 촬영해 둔 후, 신문에 형식적으로 묘지 이장공고를 게재한 후 건축신청을 하면 됩니다. 이 경우 농지나 임야와는 달리 전용허가나 형질변경 같은 절차와 전용부담금, 대체농지조성비 등이 필요 없어 시간과 비용 면에서 이득이 됩니다.
이렇듯 실제 묘가 없는 묘지의 경우는 명당으로 알려진 곳이 많아 주변보다 땅값이 비싼 것이 보통입니다. 만약 집 지을 터에 묘가 있는 경우에는 형질변경허가를 신청하고 난 후 개장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묘의 연고자를 찾아 자발적으로 이장에 합의한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연고자를 찾을 수 없는 ‘무연분묘’인 경우, 남의 분묘가 자기의 토지에 있다고 해서 함부로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개장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


집을 짓겠다는 생각으로 시골을 다녀 보면 묘지가 너무 많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특히 집짓기 좋은 곳에는 거의 묘지가 있습니다. 집이나 묘지는 모두 명당을 찾는다는 공통점 때문입니다.

늘어나는 묘지 면적

실제로 우리나라 국토에는 묘지가 포화상태입니다. 전국토의 1%인 약 996㎢가 묘지인데 이 면적은 전체 택지면적의 절반을 넘고 공장면적의 3배, 서울시 면적의 1.5배에 달하는 면적이라는 통계입니다.

해마다 약 20만기의 새로운 묘지가 생겨나고 있는데 그 면적은 여의도의 1.2배나 된다고 합니다. 앞으로 서울은 2년 이내, 수도권은 5년, 전국적으로는 10년 이내에 묘지 공급이 한계상황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다 보니 집이 있는 곳이면 어디나 묘가 있게 마련입니다. 실제 집터를 잡아보면 바로 옆에 묘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원주택단지들을 둘러보아도 단지 옆에 묘가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옆에 묘지가 있으면 집터로 꺼리는 경우가 많지만 앞으로는 어쩔 수 없이 묘지와 함께, 묘지가 있는 곳에 집을 지어야 할 것입니다. 산 자와 죽은 자의 공존이라고나 할까요.

묘지는 집터로도 명당

전원주택은 대지나 농지전용, 임야형질변경을 통해 짓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잡종지나 특수지목 중 ‘묘지’인 경우에도 전원주택 건축이 가능합니다.

흔하지는 않지만 지목이 묘지로 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묘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과거 명당으로 여겨졌던 곳을 나중에 묘를 쓰겠다는 생각으로 지목을 ‘묘지’로 만들어 놓고 묘를 쓰지 않은 채 방치해 놓은 땅입니다.

지목이 ‘묘지’인 곳에 전원주택을 지으려면 우선 묘가 없는 곳에서는, 묘가 없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현장사진을 촬영해 둔 후, 신문에 형식적으로 묘지 이장공고를 게재한 후 건축신청을 하면 됩니다.

이 경우 농지나 임야와는 달리 전용허가나 형질변경 같은 절차와 전용부담금, 대체농지조성비 등이 필요 없어 시간과 비용 면에서 이득이 됩니다. 이렇듯 실제 묘가 없는 묘지의 경우는 명당으로 알려진 곳이 많아 주변보다 땅값이 비싼 것이 보통입니다.

만약 집 지을 터에 묘가 있는 경우에는 형질변경허가를 신청하고 난 후 개장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묘의 연고자를 찾아 자발적으로 이장에 합의한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연고자를 찾을 수 없는 ‘무연분묘’인 경우, 남의 분묘가 자기의 토지에 있다고 해서 함부로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개장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무연분묘’란 다른 사람의 토지에 정당한 권한 없이 만든 분묘로 분묘 소재지의 시군구에 신고를 하지 않아 연고를 알 수 없는 분묘를 말합니다.

유족이나 관리인 등 실제 연고자가 불명인 것뿐만 아니라 연고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신고하지 않은 것도 무연분묘로 인정됩니다.

‘무연 분묘’를 처리하는 방법

무연분묘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이장과 개장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이장하는 방법으로는 토지의 불법점유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 자료를 만들어 민법에서 정하는 ‘소유물제거 및 인도청구 소송’을 거쳐 법원의 이장명령을 받아 강제 이장하면 됩니다.

둘째, 개장하는 방법은 ‘매장 및 묘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시도지사의 개장허가를 받아 개장을 합니다. 개장이라 함은 시신 또는 유골을 다른 장소로 이장하거나 화장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대부분 개장방법으로 이장을 많이 하게 됩니다.

개장의 절차는 개장사유를 기재한 개장신청서에 분묘사진을 첨부해 분묘소재지 관할 시장, 구청장, 군수를 경유해 도지사에게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허가를 받은 후에는 2종 이상의 일간신문에 각각 2회 이상 공고해야 하고 공고일로부터 2개월간 연고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공고한 신문을 첨부해 개장신고를 하면 연고자나 관리인의 입회 없이 토지소유자가 임의로 타인의 분묘를 개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절차를 거친 후 집을 지으면 문제가 없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6483 텝스 독해 요령알려주세요. 달콤이 2022.06.07
246482 29주 산모님들 자주 부으시나요? 바르고 2022.06.07
246481 캠프타운 코스모스100 동계문의 드립니다~ 황예 2022.06.07
246480 전세권설정 해지를 직접해보고싶습니다 시윤 2022.06.07
246479 had better의 과거형은 무엇인가요? 모든 2022.06.07
246478 도시형생활주택 계약파기질문이요 백합 2022.06.07
246477 어린이집 다니는 아이들 소예 2022.06.07
246476 밀양 기회송림 야영장 공사는 끝났나요? 도1도캣 2022.06.07
246475 텝스 점수 계산법 사라 2022.06.06
246474 2014년 개정된 양도소득세,취득세,상속,증여세 내용 이렇게 달라졌다. 별햇님 2022.06.06
246473 캠핑장 부지 몇 평 정도 하나요? 벚꽃 2022.06.06
246472 탭스 쌩 초보 입니다 우주 2022.06.06
246471 돌잔치 선물 뭐가좋을까요??? 환찬 2022.06.06
246470 전치사의 목적어 관련 질문! 혜윤 2022.06.06
246469 가을 캠핑용 텐트 추천좀 해주세요 어떤게 좋은건지? 세나 2022.06.06
246468 입시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민합니다..(텝스) 주미 2022.06.06
246467 영어문장 문법적으로 설명 좀 해주세요 ㅠㅠ 달님 2022.06.06
246466 킨텍스 베이비페어 박람회.. 꽃짱구 2022.06.06
246465 개인사업자용 임대계약.세무 관련한 질문입니다. 요루 2022.06.06
246464 두달 과정 학원 스터디에 관해 질문드려요. 허리달 2022.06.06
246463 용인에서 가까운 백팩킹 추천 부탁합니다..^^ 얀새 2022.06.06
246462 명지신도시 호반베르디움 아파트 향후 발전 가능성?? 든해 2022.06.06
246461 어려운 영어 질문이요 ㅠㅠ (관계사) 미리내 2022.06.06
246460 질문: 서울에 사무실 분양 쪽으로 괜찮은 곳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해리 2022.06.06
246459 젖병 더 살까요? 일본녀 2022.06.06
246458 어려운 영어 ㅠㅠ 소라 2022.06.06
246457 텝스 생초짜 (아무것도 모르는)사람이 공부시작하려 합니다 솔로다 2022.06.06
246456 구이바다 신형M 구입처좀 알려주세요~ 에드워드 2022.06.06
246455 출장 마사지 추천좀 해주세요 앨런 2022.06.06
» 지목이 ‘묘지’인 곳에 전원주택을 지으려면 뽀송뽀송 2022.06.06
246453 영어단어-pusing 의 쓰임 놓아주세요 2022.06.06
246452 시험접수..ㅠㅠ 은소라 2022.06.06
246451 아이 영양제요~ 회사원 2022.06.06
246450 텝스 독해 교제 추천좀 부탁해요 리나 2022.06.06
246449 이 난로 어떨까요? 돌삥 2022.06.06
246448 성공 사례 2022.06.06
246447 2014년 개정 양도소득세율 창민 2022.06.06
246446 텝스~~~~~~ 찬늘 2022.06.06
246445 돌잔치준비가 장난이아니네요 안녕나야 2022.06.06
246444 루프탑쓰시는분들 일반텐트있으세요? 목련 2022.06.06
2022-06-06 23:20:07
여행오키 | 사업자 등록번호 : 109-86-27241 | 관리 책임자 : 명현재
주소 : 서울시 강서구 화곡동 786-9 탑건 302호 | 문의 : kjs8907@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