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s commonplace in cities for people not to know their next-door neighbors.
도시에서는 사람들이 옆집에 사는 이웃을 알지못하는 경우가 흔하다.
답지를 보면 해석이 이렇게 되는지 이해가 되는데
제가 처음에 해석할때는
그것은 그들의 옆집에 사는이웃을 알시못하는 사람들에 대한 도시에서 흔하다.
라고 해석했었거든요??이렇게 해석하는사람은 저뿐일까요ㅠ..
문장을 많이 접해보면 자연스러워질까요??
댓글 6
-
슬아
-
율아
가짜주어는 말 그대로 형식적으로 주어 역활만 하므로 해석하지 않습니다.
의미상 주어라 함은 to 부정사도 뿌리는 동사이니깐 동작을 하는 주어가 있겠죠. 전체문장의 본동사의
주어와 구별하기 위헤서 의미상 주어란 용어를 사용한 것 뿐입니다.
to 부정사가 진주어 이니깐 가짜주어 It 자리에 놓고 해석하면 됩니다 -
한길찬
그런데 to 부정사 앞에 not이 있네요. to 부정사를 부정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
봄나
It (가주어) is(본동사) commomplace in cities for people (의미상주어) not to know ~ (진주어)
해석방법 : (의미상주어)가 (진주어)하는 것은 ~ 하다.
윗문장은 to 부정사 앞에 not이 있음으로, 의미상주어가 진주어하지 않는 것은 ~하다. -
해찬나래
감사합니다 좋은참고가되었어요♡
-
들빛
감사합니다.
2022-05-01 04:32:26
자주 나오는 It - for - to 부정사 구문입니다.
It은 가주어(가짜주어) for 는 의미상 주어 (to 부정사의 주어) to 부정사는 진주어 (진짜 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