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felt (like i was) brought home by a familiar smell...
위에 보시는 것 처럼 felt 뒤에 (like i was) 가 생략되어 있다고 하네요.
어떤 원칙으로 생략될 수 있나요?
아니면 brought 를 그냥 felt 의 목적격보어로 봐야 하는 건가요?
댓글 10
-
ComeOn
-
참
네... ^^ 수동태로 보기에는 의미가 자연스럽지 않은거 같아서요~~ 교과서에 있는 문장인데.. 희한하네요^^ 도와주시어요~~ ㅋ
-
재바우
두꺼운 문법책을 보면 실마리가 나올수도 있겠네요.
당장은 저 설명이 솔깃하지가 않네요 -
개랑
나도 설명이 좀 그렇네요.
호환되는 표현정도로 볼 수 있을 것같아요...
felt brought home
felt는 was와 같은 linking verbs로
실제사실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느낌을 표현하는 거죠..
like나 as if없이도 가능한 표현으로 보여요...
I felt threstened by his attitude -
큰가람
CGEL 이란 책에 실마리가 있는 듯 합니다.
168페이지 3.76 semi-passive 란 부분에
동사적, 형용사적 성격을 모두 가진 수동태 문장이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진다고 설명합니다.
On the other hand, their adjectival properties include the possibility of:
(a) coordinating the participle with an adjective;
(b) modifying the -
갤3
linking verb와 copular verb는 같은 거죠...
-
라
네. 포인트는 lexical copular(linking)
-
좍좍
be동사를 제외한 다른 copular/linking verb는
고유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보면 되겠죠... -
가자
와... 자세하게 설명해주셨네요^^ 그럼 I felt brought home.. 은 수동태 형태이고, 의미는 brought 한 느낌이 들었다. 라고 해석하게 되는 거지요? be동사 처럼 felt 뒤에 과거분사가 오고 동시에 \느끼다\라는 고유의 의미로 해석된다 라고 간단히 정리해도 될런지요? (아이들에게 설명해주려고 합니다^^)
-
진달래
만약 고등학생이라면,
다음의 배경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1. be-수동태가 기본
2. be-수동태와 get-수동태의 차이
3. 경우의 따라 be 대신에 다른 연결동사도 쓰일 수 있다는 가능성 제시
위 문장의 경우는 \by a familiar smell\ 이 be 대신 felt 가 쓰일 수 있었던 trigger
Get 이나 become 처럼, 수동태를 만드는 be 조동사 대용으로 쓰인 것인지도 모르겠네요.
가능한지는 모르겠습니다. 알아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