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사구문 질문드립니다
틀린 부분 찾기인데요..
one might 1. object to that since there 2. were so few people in this research area, generalizations 3. such as the above are meaningless, but this 4. is not the case.
이렇게 되어 있고요
답은 1번인데, 그 이유가 object가 1형식 자동사인데, that절을 취하면 타동사로 쓰인다고 하더군요..
그런데 제 의견은 좀 달라서요
기본적인 것은 생략할게요
one might 1. object to that(대명사) (부사절의 시작)since there 2. were so few people in this research area, generalizations 3. such as the above are meaningless, but this 4. is not the case.
이 두 부분이 문제인 것 같아요
해석)
어떤 이는 그것에 반대할 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그 조사지역에는 사람이 거의 없어 위와 같은 일반화가 무의미하기 때문에. 그러나 이것은 사실과 다르다.
이렇게 해석되고, that이 대명사, there were~이하가 분사구문이 되어야 하므로, were를 having been으로 고쳐 분사구문으로 만들어줘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이렇게 고쳐도 전혀 하자 없다고 생각합니다. there와 it은 분사구문에서 쓰일 경우 생략하지 않고 쓰니까요.)
해설과 마찬가지로 that이하를 절로 본다면 1번이 that에 밑줄이 없으므로, that절이 전치사 뒤에 올 수 없기 때문에 1번을 찍을 수도 있겠으나, 2번을 찍어 제가 말씀드린대로 분사구문으로 고치는 게 더 타당하다고 생각했엇습니다.
그런데
one might object to that/
(since there having been so few people in this research area), generalizations such as the above are meaningless,
but this is not the case. 위문장이 틀린 이유가요...
-- 분사구문은 대등절이나 부사절로 연결되었던 문장을 분사를 이용하여 부사어구로 만든 문장인데,
만약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다음에 분사구문 형태가 바로 쓰이면, 그 접속사는 분사구문에 끌려있다고 본다는 것인가요?
그래서 원래위치가 자유로운 문장부사어구인 분사구문이 저렇게 맘대로 다닐 수 없는 것인가요?
저는 since generalizations such as the above are ~~~이 문장에 there having been 추가로 들어갔다고 생각했습니다.ㅠ
대등절이나, 명사절을 이끄느 접속사, 형용사절을 이끄는 접속사(관계사)는
다른 거고요?